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년 시험에 출제되는 국사 문제- 1.구석기 & 신석기 시대편

by sunnypanda 2025. 3. 14.

매년 시험에 나오는 국사 문제 풀이-구석기시대 신석기 시대 편

연천리 구석기 시대 주먹도끼
구석기 시기:
70만 년 전~기원전 8000년경

생활 방식: 이동 생활 (사냥과 채집)
도구 사용: 뗀석기 사용
사회 구조: 무리 생활 (평등 사회)
 
구석기 시대 특징
◇사냥·채집·어로 생활
동물을 사냥하고, 열매를 채집하며, 물고기를 잡음
 
불 사용 (따뜻하게 지내고, 조리와 방어 용도로 활용)
 
뗀석기 사용
돌을 깨뜨려 만든 주먹도끼, 찍개, 긁개, 찌르개 등을 사용
용도에 따라 석기를 다듬어 쓰기 시작함
 
이동 생활 (수렵·채집 경제)
한곳에 정착하지 않고 동굴이나 강가에 살면서 이동
동물의 이동식량을 따라 생활
 
공동체 생활과 평등 사회
가족 단위의 작은 무리 생활 (부족 사회)
사유 재산이 거의 없어 평등한 사회 구조
 
예술과 신앙의 시작
동굴 벽화, 조각품(주술적 의미)
사냥의 성공을 기원하는 주술적 행위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 (죽은 사람을 매장하는 풍습 등장)
 
구석기 시대 대표적인 유적지 (한국)
 단양 수양개 유적 석기 제작 터 발견
연천 전곡리 유적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
(세계적 중요성)

청원 두루봉 동굴 어린아이 유골(흥수아이) 발견
제주 빌레못 동굴 구석기 시대 동굴 거주 흔적




신석기 시대:
1만 년 전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3천 년경까지 이어진 시기로, 주로 농업과 정착 생활의 시작을 특징으로 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농업의 시작: 신석기 시대는 최초의 농업이 시작된 시기입니다. 주로 곡물(보리, , 조 등)을 재배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동물(, 돼지 등)을 길러 가축화하기도 했습니다.
 
정착 생활: 신석기 사람들은 더 이상 유목 생활을 하지 않고, 특정 지역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고 살았습니다. 주거지로는 움집이 대표적이며, 이를 통해 사람들의 생활 양식 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석기 도구의 발전: 신석기 시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석기 도구의 발전입니다. 연마한 석기, 예를 들어 돌칼, 돌창, 그릇 등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생활에서의 효율성을 높였고, 다양한 의례 및 생업 활동에 사용되었습니다.
 
도기 기술의 발전: 석기뿐만 아니라, 신석기 시대에는 도기(토기)가 발전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초기에는 손으로 빚은 도기였지만, 점차 기계적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도기가 만들어졌습니다.
 
사회적 변화: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공동체 생활이 강조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인구 증가와 함께 일정한 사회적 규범이 형성되었고, 집단 간의 상호작용과 무역이 이루어졌습니다.
 
신앙과 의례: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았으며, 종교적 신앙과 의례가 중요했습니다. 이러한 신앙은 제례 의식, 제물로 쓰인 동물 뼈, 조개껍데기 등으로 나타납니다.
 
조각 및 예술: 신석기 시대에는 일부 예술적 표현이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토기나 조각품에서 특정한 상징적 의미를 담은 문양이나 형상이 발견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 후에 나타날 청동기, 철기 시대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신석기 시대는 약 1만 년 전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3천 년경까지 이어진 시기로,

주로 농업목축업의 시작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토기의 사용간석기 사용을 특징으로 합니다.

아래에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 몇곳을 살펴 보겠습니다

 

서울 암사동 유적 (서울): 암사동은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로, 다양한 유물들이 발굴되었고, 특히 움집 형태의 주거지와 유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하동 금산리 유적 (경상남도 하동): 신석기 시대의 주거지와 다양한 석기 도구들이 발견된 유적지로,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고령 양전리 유적 (경상북도 고령):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집자리 유적지로, 당시 사람들이 사용했던 도구들과 생활 흔적들이 발굴되었습니다

 

강릉 옥계리 유적 (강원도 강릉): 신석기 시대의 주거지와 함께 다양한 동물 뼈와 식물 잔해가 발견된 곳입니다

이 외에도 신석기 시대의 유적지는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리/ 밀/ 조 등을 재배하기 시작

신석기 시대에 보리/ 밀/ 조 등 농작물을 심기 시작하여 농업이 시작 되었고

돼지 등 동물도 집에서 길러 가축화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신석기 시대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것은
 
ㄱ.대표적인 유적으로 서울 암사동 유적
    양양 오산리 유적 등이 있다
ㄴ.움집에 살면서 정착생활을 시작 하였다
ㄷ.고인돌과 독무덤을 만들었다
ㄹ.농업생산력의 발달로 계급분화가 이루어졌다

1.ㄱ.ㄴ   2.ㄱ.ㄹ.  3.ㄴ.ㄷ  4.ㄷ.ㄹ

2.신석기 시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것은 

ㄱ.명도전을 화페로 사용하였다
ㄴ.검은 간토기를 널리 사용하였다
ㄷ.바닥이 여(呂)자 철(凸)자 형인 집을 짓고 거주
ㄹ.사냥 채집 어로가 식량을 획득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정답.1

고인돌 / 독무덤은
청동기시대 / 철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정답:ㄹ

ㄱ.ㄴ.ㄷ는 철기 시대에 대한 설명이다

구석기 시대라고 하면 뗀석기/동굴/수렵/이동생활 등등이 대표적이고

신석기 시대라고 하면 간석기/움집/정착생활/농업과 목축업 시작 등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