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동예의 풍습

by sunnypanda 2025. 3. 17.

동예(東濊)에 대한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예의 위치와 범위

  • 시기: 기원전 82년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존재
  • 지리적 범위: 오늘날 함경남도 남부 원산에서 강원도 강릉시, 경상북도 영덕군에 이르는 동해안 지역
  • 주요 특징: 예맥계 부족사회 집단

2. 동예와 한사군의 관계

  • 위만조선 멸망 후: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 멸망 후, 전한 제국한사군이 세워짐
  • 기원전 82년: 임둔군 일부가 현도군과 합쳐졌고, 이후 영동 7현동예로 귀속됨
  • 영동 7현: 후한 광무제 건무 6년(AD 30) 동부도위 폐지 후, 독립해 옥저동예에 나뉨

3. 동예의 멸망과 고구려 복속

  • 동예 복속: 동예는 고구려에 복속되었으며, 광개토대왕릉비문에서 고구려가 정복한 동예 지역 명칭이 기록됨
  • 6세기 독성산성 전투(548): 고구려 양원왕백제 성왕을 공격할 때, 동예인 병사 6,000명이 동원됨
  • 동예와 신라: 동예 일부 지역은 후에 신라에 병합됨

고조선 이후에 등장한 또 다른 나라들이 있었어

옥저는 지금의 함경도 동해안에 있던 나라인데 왕은 없고 삼로 읍군이라 불리던 군장이 통치했지

옥저는 토지가 비옥해서 농사가 발달했고 해안가에 위치해서 소금과 해산물이 풍부했대.

척박한 산악지대에 위치했던 고구려에 비하면 정말 좋은 환경에 있던 나라였대요

옥저에는 민며느리제 골장제라는 독특한 제도를 가진 나라로 알려져 있어.

=민며느리제는 여자의 나이가 10살이 되기 전에

남자와 결혼 하기로 약속하고 신랑집에 들어가 살았던 제도래. 

어린 여자아이를 데려와 키운 뒤 며느리로 삼았던 거지

그리고 여자아이를 신부집에 데려올 때 돈을 지불했다는 구나

=골장제는 가족이 죽으면 가매장 했다가 살이 썩으면 유골

즉 그 남은 뼈만 커다란 목곽에 함께 넣어 묻는 풍습이었어

가족 공동무덤이라 할수 있는 거지 이걸 보면

옥저가 가족중심의 공동체를 정말 중요시했다는 생각이 들어

 

옥저와 그리 멀지 않은 지금의 강원도 북부 동해안에는 동예라는 나라가 있었어.

동예도 옥저처럼 왕이 없었고 삼로 읍군이라 불리던 군장이 통치했던 나라야

동예에서는 좋은 특산물이 많이 났는데

반어피(바다표범 가죽)  과하마(키가 작은 조랑말) 단궁(박달나무로 만든활)이 유명 했다고 해.

명주와 삼베를 짜는 방직기술이 유명했다고 해

동예에는 책화 족외혼이라는 풍습이 있었어.

책화는 부족간의 경계선을 서로 넘지 않도록 약속하고 함부로 침범하면 노비/소/말 따위로 갚아야 했던 제도래.

족외혼은 같은 씨족끼리 결혼하지 않는 건데 가까운 친족끼리 결혼하지 않는 오늘날 풍습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

동예편에서 자주 나오는 셤 문제

단궁/ 과하마 /반어피가 유명하다는 식으로 문제를 많이 나옴

  • 단궁(短弓): 작은 크기의 활로, 동예 사람들이 사용한 대표적인 무기 중 하나입니다.
  • 반어피( 班魚皮 ): 반어피는 얼룩무늬 바다표범 가죽을 의미하는데, 동예에서는 반어피를 옷이나 갑옷을 만드는 데 사용했습니다.
  • 과하마(果下馬): 말의 일종으로, 동예에서 사용되었으며, 말 뜻대로 하면 과일 나무 밑을 지날수 있는 말 이라는 뜻 .  지금의 조랑말이랑 비슷한듯

 

 

동예가 한사군의 영향을 받게 된 시점은 언제인가?

① 기원전 108년
② 기원전 82년
③ 기원후 30년
④ 기원후 247년


정답: ② 기원전 82년

동예가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한 시기와 관련된 문서는 무엇인가?

① 삼국사기
② 광개토대왕릉비문
③ 삼국유사
④ 한서


정답: ② 광개토대왕릉비문
  • 동예의 위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한반도 중부
    ② 한반도 북부와 동부
    ③ 한반도 남부
    ④ 전라남도 일대

    정답:
     ② 한반도 북부와 동부
  • 동예가 고구려와 복속된 시기는 언제인가?
    ① 3세기 초
    ② 4세기 초
    ③ 5세기 초
    ④ 6세기 초

    정답:
     ② 4세기 초